티스토리 뷰
김현정의 뉴스쇼
http://v.media.daum.net/v/20180301134203710?f=m&rcmd=rn
◆ 손수호> 그래요. 일단 이렇게 현금화가 됐기 때문에 그 후 어디로 재산이 흘러갔는지 파악하기 참 어려워졌습니다. 그런데 그게 끝이 아닙니다. 이완용 후손들은 1992년 서울 북아현동에 있는 땅이 자기들 땅이라면서 국가를 상대로 소 제기 했는데요, 이완용 후손들이 소송에서 이겼습니다. 그리고는 그 땅을 바로 30억 원에 팔아버리고 캐나다로 이민 갔어요.
◇ 김현정> 그러니까. 친일파의 재산을 해방 후에 환수하기는커녕 친일파 후손한테 땅을 되찾아준 셈이 된 거네요.
◆ 손수호> 그렇습니다. 이 소식을 들은 국민들이 당연히 분노했죠. 이완용 재산 몰수하자는 서명운동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 사건을 계기로 친일파 재산을 환수하기 위한 노력이 시작됩니다. 하지만 국가가 환수한 이완용 일가의 땅은 19,000 제곱미터 그러니까 약 3,300평에 불과했는데요.
◇ 김현정> 이 정도면 어느 정도예요, 이완용 재산의 땅에서?
◆ 손수호> 이게 이완용이 가지고 있던 전체 땅의 0.05%. 극히 일부인 거죠.
http://v.media.daum.net/v/20180301134203710?f=m&rcmd=rn
◆ 손수호> 그래요. 일단 이렇게 현금화가 됐기 때문에 그 후 어디로 재산이 흘러갔는지 파악하기 참 어려워졌습니다. 그런데 그게 끝이 아닙니다. 이완용 후손들은 1992년 서울 북아현동에 있는 땅이 자기들 땅이라면서 국가를 상대로 소 제기 했는데요, 이완용 후손들이 소송에서 이겼습니다. 그리고는 그 땅을 바로 30억 원에 팔아버리고 캐나다로 이민 갔어요.
◇ 김현정> 그러니까. 친일파의 재산을 해방 후에 환수하기는커녕 친일파 후손한테 땅을 되찾아준 셈이 된 거네요.
◆ 손수호> 그렇습니다. 이 소식을 들은 국민들이 당연히 분노했죠. 이완용 재산 몰수하자는 서명운동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 사건을 계기로 친일파 재산을 환수하기 위한 노력이 시작됩니다. 하지만 국가가 환수한 이완용 일가의 땅은 19,000 제곱미터 그러니까 약 3,300평에 불과했는데요.
◇ 김현정> 이 정도면 어느 정도예요, 이완용 재산의 땅에서?
◆ 손수호> 이게 이완용이 가지고 있던 전체 땅의 0.05%. 극히 일부인 거죠.
'9-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60년 동학창도와 근현대의 시작 (0) | 2018.03.06 |
---|---|
◈쥐불놀이 (0) | 2018.03.02 |
위안부 몰살의 실체 (0) | 2018.03.01 |
우리나라 지명의 유래 ☆세검정터 (0) | 2018.02.26 |
▣3.1절(목) 식민사학해체 역사콘서트 (0) | 2018.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