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식목일의 유래
◈식목일은 일본 식민지로로부터 광복된 다음 해인 1946년 정부는 신라가 삼국 통일을 이룬 날(문무왕 17년 2월 25일,양력 4월 5일)과 조선의 성종이 선농단(선농단)에서 직접 논을 경작한 날(양력 4월 5일)을 기원으로 해서 정했다. 식목일은 우리 민족의 역사와 농림 사상이 깃든 매우 뜻 깊은 날이다. 또 계절적으로도 나무를 심는 기간이어서 이날을 식목일로 정하게 됐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sec&sid1=102&oid=011&aid=0002663362☜
식목일로 정한 계기중의 하나인 선농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조선의 왕은 매년 경칩 뒤의 해일(亥日)에 선농단에 나가 신농씨(神農氏)와 후직씨(后稷氏)에게 친히 제사를 지내고 손수 쟁기로 논을 갈았습니다. 동대문구 제기동에 있는 선농단(先農壇)은 조선의 임금들이 선농제를 지내면서 농사의 소중함을 표시했던 장소입니다. 선농제는 농사를 관장했다고 하는 신농씨와 후직씨에게 지내는 제사입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sec&sid1=110&oid=011&aid=0002488758☜
◈선농단에서 경농의 신, 신농씨을 만나다
http://share.greatcorea.net/share/13077☜
◈식목일은 일본 식민지로로부터 광복된 다음 해인 1946년 정부는 신라가 삼국 통일을 이룬 날(문무왕 17년 2월 25일,양력 4월 5일)과 조선의 성종이 선농단(선농단)에서 직접 논을 경작한 날(양력 4월 5일)을 기원으로 해서 정했다. 식목일은 우리 민족의 역사와 농림 사상이 깃든 매우 뜻 깊은 날이다. 또 계절적으로도 나무를 심는 기간이어서 이날을 식목일로 정하게 됐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sec&sid1=102&oid=011&aid=0002663362☜
식목일로 정한 계기중의 하나인 선농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조선의 왕은 매년 경칩 뒤의 해일(亥日)에 선농단에 나가 신농씨(神農氏)와 후직씨(后稷氏)에게 친히 제사를 지내고 손수 쟁기로 논을 갈았습니다. 동대문구 제기동에 있는 선농단(先農壇)은 조선의 임금들이 선농제를 지내면서 농사의 소중함을 표시했던 장소입니다. 선농제는 농사를 관장했다고 하는 신농씨와 후직씨에게 지내는 제사입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sec&sid1=110&oid=011&aid=0002488758☜
◈선농단에서 경농의 신, 신농씨을 만나다
http://share.greatcorea.net/share/13077☜
'9-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펀] 판상격문(판=미디어) (0) | 2017.04.24 |
---|---|
*독도는 일본 땅이라고 주장하는 대한민국 학자 (0) | 2017.04.19 |
[특집편]_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선사시대'관에서 '상고사'를 만나다! (0) | 2017.04.01 |
상위 0.1% 진정한 리더의 조건 (0) | 2017.02.21 |
▣중미패권과 한반도의 미래 (0) | 2017.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