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국정교과서!! 일제의『삼국사기』 초기 기록 불신론을 그대로 반영하다.

https://youtu.be/uABieX-p_xM☜

이른바『삼국사기』초기기록 불신론은 조선사편수회의 쓰다 소우키치가 만든 것이다.
일본은 환국·배달·고조선뿐 아니라 고구려·백제·신라의 삼국 시대 역사도 축소하였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신라는 BCE 57년, 고구려는 BCE 37년, 백제는 BCE 18년에 건국되었다. 그런데 일본은 『삼국사기』의 상대上代 기록을 역사적 사실로 인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삼국 시대 초기 왕들의 존재도 부정하였다. 삼국의 초기 왕을 모두 누락시키고 고구려는 6세 태조왕, 백제는 8세 고이왕, 신라는 17세 내물왕부터 그 이름을 거론하였다.

일본은 왜 『삼국사기』에 기록된 삼국 시대 초기 역사를 부정하여 이른바 ‘『삼국사기』 초기 기록 불신론’을 조장했을까? 이보다 앞서 일본은 ‘4세기에 일본이 한반도 남부를 지배했다’는 임나일본부설을 조작하였다. 그런데 『삼국사기』 초기 기록을 인정하게 되면 4세기 이전에도 한반도에 강력한 왕권이 있었고 4세기의 임나일본부는 설 자리를 잃게 된다. 때문에 조선사편수회의 쓰다 소우키치 津田左右吉는 『삼국사기』에 임나일본부가 나오지 않는다는 이유로 『삼국사기』의 기록을 믿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삼국사기』에는) 4세기 후반부터 5세기에 걸쳐 ‘우리나라(일본)가 가야를 근거로 신라에 당도했다’라는 명백한 사건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삼국사기』 「신라본기」 상대上代에 보이는 외국관계나 영토에 관한 기사는 모두 사실이 아닌 것으로 이해된다”(쓰다 소우키치,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대하여(三國史記の新羅本紀について)’,『고사기및일본서기 연구(古事記及び日本書紀の硏究)』, 1919).


『삼국사기』 초기 기록을 부정한 빈자리에는 『삼국지』 「동이전」의 기록을 끌어들였다. 『삼국지』 「동이전」에는 그때 한반도 남부에 마한, 변한, 진한의 78개 소국이 있었다고 되어 있다. 그렇게 되면 한반도 남부의 힘없는 소국을 지배할 임나일본부가 들어설 자리가 생기게 된다. 그러나 『삼국지』 「동이전」은 대부분 BCE 2세기 때의 역사를 기록한 책이고, 그 저자인 진수陳壽가 부정확한 사료와 전해들은 이야기를 바탕으로 기록하였으므로 신빙성이 떨어지는 사료라는 것이 학계의 정설이다.

그런데 『삼국사기』 초기 기록 불신론이 야기한 더욱 심각한 문제가 있다. 그것은 일제가 심어 놓은 이 낭설이 한국의 주류 사학계에 그대로 관철되고 있다는 것이다. 제6차 교육과정까지의 국사 교과서는 부록 ‘역대 왕조 계보’에서 삼국 초기 국왕들의 재위 연대를 적지 않았다. 고구려는 6세 태조왕부터 재위 연대를 기록했고, 백제는 8세 고이왕부터, 신라는 제17세 내물왕부터 재위 연대를 기록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부터는 각 왕조의 1세 왕부터 연대가 기록되었는데, 이것도 역사학자들이 인정해서 기록한 것이 아니라 한일역사공동연구회에 참여한 교육부 관료들이 강력히 주장하여 마지못해 넣은 것이다. 그러나 본문에서는 여전히 초기 왕들의 행적이 서술되지 않아 사실상 삼국 시대 초기 역사는 지금도 계속하여 부정당하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한겨레신문>,“이덕일 주류 역사학계를 쏘다, 삼국사기 초기 기록은 조작되었나”, 2009.6.17. ,

그리고 2016년 11월 28일 발표된 국정교과서 역시 이 삼국사기 초기기록 불신론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더군다나 그동안 역사학을 전공한 이덕일 박사를 비롯한 민족사학자들을 재야사학자, 사이비학자라고 온갖 음해를 해왔었다.  역사를 전공한 사학자들조차 자신들의 학설에 반하는 주장을 하면 식민사학 카르텔을 지키기 위해 언론을 통해 역자 전공자가 아닌 사이비 역사학이라고 온갖 음해공작을 벌여왔던 바이다.

그런데  정작  국정교과서  집필진을 살펴보면  이율배반적인 행보를 하고 있다. 김정배 국사편찬위원장의 발표를 들어보면  한국현대사는 역사학 전공자만의 전유물이 아니라고 하고 있다. 그동안 자신들이 재야사학에 비판해오던 바와는 전혀 다른 주장을 하고 있는 것이다. 국정교과서 농단 사건은 주류사학인 식민사학과  뉴라이트사관을 미래세대에 주입하기 위한  역사왜곡이자 역사쿠테타 꼼수라고 볼 수 있다. 국정교과서 사건은 어찌보면 현대판 분서갱유 사건과도 같다. 국정외에는 인정을 안하고 오직 정부에서 지정한 역사교과서의 시각으로만  역사를 보라는 것이다. 정부는 교육부 국정교과서  집필진에 역사전공자가 아닌 뉴라이트 인사를 대거 등용하였다. 이를 살펴볼 때 공정한 역사 서술이기보다는 뉴라이트적 사관을 뿌리내리기 위한  정략적이며 정치적 거래에 의한 역사서술이라 봐야할 것이다.

그러면서 정부는 올바른 역사교과서를 만들었다고 수차 강조했다. 균형 있는 역사관과 올바른 역사관을 갖도록 심혈을 기울였다고 발표를 했다. 식민사학자들은 행동은 매국행위를 하면서 대접은 독립운동가 평가를 받고 싶어한다는 이덕일 소장의 따끔한 지적이 생각난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