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설날 덕담과 적선지가필유여경>
설날에 나누는 덕담에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라는 말이 있습니다. 새해에는 큰 복을 받아서 일이 술술 풀리라는 뜻인데, 예전에 덕담을 할 때는 지금과 달리 과거형으로 했다고 합니다.
예를들어 "새해 복 많이 받으셨습니다." "새해 큰 일을 하셨군요"하는 식인거죠.
종교인이 기도할때도 "건강하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가정이 화목하게 해주셔서 고맙습니다"라고 기도하는걸 보면 그 유래가 오래되었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
말에는 기운이 박혀있어서 말대로 되는 이치를 알았기 때문이겠죠.
또한, 복은 저절로 받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선덕을 쌓아야 하늘에서 내려주는 큰 복을 받을 수 있다는걸 알게하는 고사가 있습니다.
지금으로부터 600년전의 일입니다.
고려말 조선초, 안동 하회마을 풍산 류씨 입향조인 류종혜가 처음 하회마을에 들어가서 입암고택(양진당, 풍산 류씨 대종택)을 지을 때의 일인데요.
하회마을에는 그전에 김해 허씨와 광주 안씨가 차례로 들어와서 살았지만, 하회탈 전설처럼 후손이 크게 번창하지는 못했습니다.
류종혜도 처음 집을 지으려고할 때, 큰 태풍이 오거나 쌓아놓은 목재가 무너져서 사람이 다치는 등 잇따라서 액운이 벌어지게 됩니다.
터를 잘못 잡은 것인지 몇날 며칠 고심을 하던 그때, 꿈에 산신령이 나타나서 말하기를..
"마을 밖, 큰 고갯길에 솥을 걸고 지나가는 사람에게 3년간 적선하면 무탈할 것이다."
'활만인(活萬人)-만명의 사람을 도우라'는 뜻이었습니다.
꿈에서 깬 류종혜는 그 후부터 3년동안, 꿈에서 일러준대로 고갯 길에 작은 움막을 짓고는 지나가는 사람에게 짚신을 삼아서 나눠주고, 밥을 해서 먹이고, 여비도 주고 하면서 적덕을 한 후에, 다시 돌아와서 집을 지으니 마침내 아무 탈 없이 공사가 진행되어 풍산 류씨가 터를 잡게 되었습니다.
이후에 류종혜의 후손이 크게 번창해서 하회마을은 600년 풍산 류씨 세거촌이 되고, 임진왜란때 국란을 극복하는데 큰 공을 세우는 류성룡과 그의 형 류운룡과 같은 큰 인물들이 나오게 됩니다.
이것을 <소학>에서는 '적선지가 필유여경 積善之家 必有餘慶' 적선하는 집안에는 반드시 경복이 남아 있다는 뜻으로, 착한 일을 하면 그 복이 자신 뿐만 아니라 자손에까지도 미친다는 말로 전하고 있습니다.
'9-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8 독립선언문 전문> (0) | 2019.02.08 |
---|---|
3ㆍ1 마중물 2ㆍ8 선언 성지 가보니 (0) | 2019.02.08 |
HD 환단고기 북콘서트 연세대 (0) | 2019.02.05 |
북한가서는 <환단고기> 진서, 돌아와선 위서라고 ? (0) | 2019.02.02 |
HD 환단고기 북콘서트 연세대ㅣ삼신 상제님의 81자 가르침 천부경 1부 (0) | 2019.01.29 |